
2061번: 좋은 암호
암호화 방식 중에는 소수를 이용하는 것들이 많다. 보통은 매우 큰 두 개의 소수를 선택하고, 두 소수를 곱한 값을 암호화에서의 키로 사용하고는 한다. 이러한 방법이 좋은 이유는 일반적으로
www.acmicpc.net
문제
암호화 방식 중에는 소수를 이용하는 것들이 많다. 보통은 매우 큰 두 개의 소수를 선택하고, 두 소수를 곱한 값을 암호화에서의 키로 사용하고는 한다. 이러한 방법이 좋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.
소수를 택할 때 큰 수를 택하면, 이 둘을 곱해서 얻어지는 키 값도 커지게 된다. 하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. 즉, 키 값이 매우 큰 경우에도 이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은 쉬울 수도 있다.
따라서 암호문이 크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, 키 값이 적절히 큰 수들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. 키 값 K와 정수 L이 주어졌을 때, K를 인수분해 했을 때, 항상 L 이상의 값으로만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싶다. 물론 인수분해 할 때 1로 나누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.
예를 들어 K=143인 경우, 이는 11과 13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다. 즉, 이를 인수분해 하는 방법은 11×13, 143의 두 가지 경우뿐이다. 따라서 L이 11일 경우에는 인수분해 했을 때 나온 수들이 모두 L 이상이므로 좋은 경우지만, L이 12이상일 경우에는 좋은 암호가 아니다.
K와 L이 주어졌을 때, 좋은 암호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두 정수 K, L이 주어진다.
출력
좋은 암호인 경우에는 GOOD을 출력한다. 나쁜 암호일 경우에는 BAD를 출력하고, K의 가장 작은 (1 아닌) 인수를 출력한다.
풀이
입력되는 K값이 10^100이기에 BigInteger를 사용해야만 한다.
값을 입력받고 소수 판별을 하면서 처음으로 나눠지는 소수로 나온 값으로 값을 나누어보고 0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닌 다른 값으로 떨어진다면 BAD를 출력
소수판별을 한 방법
Baekjoon 2960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JAVA
2960번: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2, 4, 6, 8, 10, 3, 9, 5, 7 순서대로 지워진다. 7번째 지워진 수는 9이다. www.acmicpc.net 문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N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소수를 찾는 유명한 알고리즘이
hunucho.tistory.com
코드
import java.math.*; import java.util.*;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BigInteger k = new BigInteger(sc.next()); int l=sc.nextInt(); boolean chk=false; boolean[] isNotPrime=new boolean [l+1]; isNotPrime[1]=true; for(int i=2;i<=l;i++) { for(int j=2;i*j<=l;j++) isNotPrime[i*j]=true; } for(int i=2;i<l;i++) if(!isNotPrime[i] && k.mod(BigInteger.valueOf(i))==BigInteger.ZERO ) { System.out.println("BAD "+i); chk=true; break; } if(!chk) System.out.println("GOOD"); } }
'Algorithm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ekjoon 1963 소수 경로 JAVA (0) | 2022.06.21 |
---|---|
Baekjoon 1837 암호제작 JAVA (0) | 2022.06.21 |
Baekjoon 2960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JAVA (0) | 2022.06.21 |
Baekjoon 2581 소수 JAVA (0) | 2022.06.21 |
Baekjoon 2153 소수 단어 JAVA (0) | 2022.06.21 |
댓글